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86

인공지능 딥러닝 머신러닝 차이 인공지능이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인간이 학습하는 능력과 추론하는 능력 등을 컴퓨터로 실현한 것입니다. 이는 인간의 뇌를 만들어보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인간의 뇌는 뉴런이라는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뉴런과 뉴런 사이에는 시냅스가 있는데 시냅스는 뉴런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신경 말단이 자극을 받게 되면 시냅스에서는 화학물질이 분비되고, 이것이 전위 변화를 일으킵니다. 이 전위가 임계치를 넘어서게 되면 다음 뉴런으로 신호를 전달하고, 임계치를 넘지 않는다면 아무 일도 생기지 않습니다. 생각은 자극에 의한 화학물질의 분비를 통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모방한 것이 인공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입.. 2021. 5. 6.
병목현상에 대해서(원인/증상/해결방법) 병목현상이란? 병목 현상은 말 그대로 병목(Bottleneck)을 생각하면 됩니다. 병은 보통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입구인 목 부분이 좁으면 흘러나오는 액체의 양이 한정적이게 되는데, 이처럼 특정한 부분의 요인으로 인하여 전체가 제한받는 상황을 말합니다. 즉, 컴퓨터에서 병목현상은 어떠한 시스템의 집중적인 사용으로 인해 전체 시스템이 성능이 저하되고 마비가 되는 현상을 뜻합니다. 이는 주로 기억장치에서 일어나며,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게 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주요 원인 가장 흔한 요인으로는 CPU와 그래픽카드 간의 성능이 맞지 않으면 발생하게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컴퓨터에서 성능이 좋은 최신형 그래픽카드를 장착하게 되었을 때, CPU 성능이 그래.. 2021. 5. 4.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라이선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L) Creative Commons License(CCL)이란 저작자가 자신의 창작물을 자유롭게 공유하는 대신 특정한 조건을 거는 것입니다. 기존에 있던 저작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저작권 보호가 폐쇄적인 방식인 반면, CC 라이선스는 창작물의 의사에 따라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자의 권리를 지키면서도 창작물을 자유롭게 공유하려는 취지에서 나온 수단입니다. CC 라이선스가 적용된 저작물은 저작자가 명시한 조건 내에서 이용할 때에는 따로 허락을 받지 않아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만일 CC 라이선스가 적용된 창작물에서 이용자가 저작권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였을 경우, 현행 저작권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CC 라이선스는 약 50여 개국에서 각종 커뮤니.. 2021. 5. 4.
랜섬웨어에 대해서(종류/예방/치료/복구) 랜섬웨어란? 랜섬웨어(Ransomeware)란 몸값(Ransome)과 악성코드(Malware)의 합성어로,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게 하고 인질로 만들어 금전을 요구하기 위해 퍼뜨리는 악성 프로그램입니다. 랜섬웨어는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알려졌고, 2010년 이후 급증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특히 2017년 상반기에는 전 세계에서 랜섬웨어로 치명적인 피해를 입기도 하였습니다. 과거에는 암호화 수준이 낮아서 상대적으로 쉽게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었으나 비트코인의 등장 이후 크립토락커가 등장하면서, 보다 어려운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는 등 방법이 다양해지고 점점 진화하게 돼 범인 추적도 어렵고 복호화도 쉽지 않게 되었습니다. 랜섬웨어 종류 1. 크립토락커(CryptoLocker) 크.. 2021. 4. 29.
반응형